ChatGPT(2) 세계 검색엔진 시장에 던진 파급

챗지피티chatgpt가 세계 검색엔진 시장에 미칠 영향과 검색엔진의 새로운 형태와 사용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챗지피티의 검색엔진 시장에서의 파급효과는 얼마나 될까? 지금 세계 검색엔진 기업들의 정보 제공 방식이 ChatGPT로 인하여 사용자의 검색엔진 사용 방법과 정보 제공 방식이 변하는 기점은 아닌지 생각을 정리해 본다.


ChatGPT의 검색엔진 시장 파급 효과는

세계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

2023년 2월 기준 상위 3대 검색엔진 점유율은 다음과 같이 나온다.

1. 구글 93.37%

2. 빙 2.81%

3. 야후 1.13%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 2023년 2월
        (출처 = statcounter)


표를 보니 구글이 압도적이다.
금액으로 환산한다면 얼마나 될까? 
미래는 어떻게 변할까? 변할 수 있을까?

구글의 압도적인 점유율이 얼마나 줄어들까 궁금해지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생각해 보지 않았던 상황이다. 검색=구글 이 공식이 나의 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었다.
상당한 기간 동안 세계적으로 독보적인 검색엔진 점유율을 가지고 있었던 구글 검색엔진
상황이 급변하지는 않겠지만 조금씩 조금씩 변하지 않을까. 

변할 수 있는 요인은 챗지피티(ChatGPT) 일까?


ChatGPT에 의한 검색방식 변화

현재 - 검색엔진의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찾아서, 찾은 많은 정보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리한다.

미래 - 검색엔진의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질문한 정보만 원하는 형태로 제공한다.

이렇게 변하지 않을까?

이것은 각 검색엔진 업체의 수익성과 연관이 있으니 엄청난 연구와 개발이 있겠지.


☑구글과 빙(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바드(Bard)

2023년 2월 8일 구글 바드 시연회.

바드에게 질문 " 9살 어린이에게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새로운 발견에 대해 어떻게 설명해 줄 수 있을까"

바드의 답  "태양계 밖의 행성을 처음 찍는 데 사용됐다"

오답이다.

이 한 번의 시연회의 TEST 실패로 구글 모회사 알파벳 주가는 약 7% 하락. 기대가 너무 컸었기 때문일까!

𝇔마이크로소프트 빙(Bing)

새로운 버전의 빙 검색엔진과 Edge브라우져 출시

빙에게 질문 "청바지 업체 갭의 투자자 사이트에 들어가 지난해 3분기 실적의 핵심을 요약해 주세요"

빙의 답 "매출과 순이익 등의 실적을 요약하고 갭의 총 마진율을 37.4% 영업마진율을 4.6%"로 제시 오답이란다.

실제 실적보고서 - 총 마진율 38.7% 영업마진율 5.9% 

TEST시연 결과를 보며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렇지만 멀지 않았다. 컴퓨터와 AI가 점점 성능이 좋아지고 발전되니까.

전문가의 의견이 여러 가지 있겠지만 누가 앞서서 검색엔진 시장을 선도할는지 아님 또 다른 검색엔진 업체가 선도할는지 모르지만 검색엔진의 사용자의 검색 방법과 검색엔진의 결과물 형태가 지금 과는 달라질 것 같다.
이 변화의 시작이 챗지피티(ChatGPT)가 가져올 가장 큰 변화가 되지 않을까!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를 제공하는 검색엔진 인지.

검색엔진이 제공하는 방법을 따르세요 하는 검색엔진 인지.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