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을 하든 자영업을 하든 모두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통칭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가지고 생산성을 높여야 합니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수확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returns)과 한계 비용에 관하여 간략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수확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returns)은
수확체감의 법칙은 생산에 필요한 요소들 중 다른 요소들은 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 생산요소가 증가할 때 단위당 한계 생산량은 줄어드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어떤 생산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자본·노동·토지 등의 생산 요소 가운데 자본과 토지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노동의 투입량을 증가시킬 경우 어느 시점이 지나면 노동량에 대한 생산량은 감소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생산요소는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투입되는 자원을 말하는 것으로. 노동·토지·자본을 3대 생산요소라고 말합니다. 경제활동 속에서 생산요소로 인하여 생산과정에 참여한 대가를(가치)를 주고받는 모든 활동을 생산시장이라고 하며 생산요소의 시장의 공급자는 가계 그리고 생산요소 시장의 수요자는 회사가 됩니다. 생산요소 가격은 그것을 공급한 사람의 소득이 됩니다. 반대 개념으로는 생산물 시장이 있습니다 생산물 시장은 기업이 만든 생산물을 교환하는 시장으로 일반적인 시장의 개념입니다.
한계비용(marginal cost, MC)이란?
비용증가분을 생산증가분으로 나눈 값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을 말하는 것으로 한계생산비라고도 합니다. 즉 상품을 한 개 더 생산할 대 추가로 들어가는 비용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경제학에서는 가격이 한계 비용과 일치할 때 가장 이상적인 상태라고 말합니다.
한계비용 = 생산 비용의 변동분 (비용증가분) / 생산량의 변동분 (생산증가분)
가격이 한계 비용 곡선과 수요 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정해지면
➁사회 전체의 만족도가 가장 커진다.
가격이 한계 비용보다 높아지면
➁사회 전체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초래한다.
➀수요량이 줄고 → ➁거래량이 줄고 → ➂생산량이 감소한다.
한계생산비는 회사가 생산량을 결정할 때 중요한 표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생산이 증가하면서 한계비용은 점차 줄어들다가 어느 생산 규모에 이르면 다시 늘어나기 시작합니다. 생산비는 고정비(생산설비 등)와 가변비용(원자재비, 임금 등)으로 구성됩니다.
한계생산비는 자영업 또는 1인 기업에도 적용하여 생각할 수 있습니다 사업 개시 전 또는 사업 확장 시에 꼭 생각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시장 가격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수익(revenue) : 수입에서 지출을 뺀 순 수입(net income)
소비자 입장에서 한계 비용과 한계 편익은
수확체증(increasing returns)의 법칙은
수확 체감과는 반대의 개념으로 생산요소의 투입을 늘렸을 때 생산량이 생산요소의 증가율보다 높은 비율로 증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지식기반 경제(문화산업, 서비스산업, 소프웨어산업 등) 산업이 해당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가령 조금 더 세분화해서 본다면 대표적으로 빅테이터, AI를 바탕으로 개발되고 구현되는 사업, 넷플릭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BTS, k-pop과 같은 문화콘텐츠산업, 디지털산업(e-business) 등을 말할 수 있습니다. 또 자원 독점형 산업의 형태로 전화(이동통신Mobile), 전기 등이 있습니다.
수확체증의 법칙이 가능한 이유는 초기에 높은 투자 비용이 발생하지만 추가적인 생산에 드는 비용이 현저히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생산되는 제품의 가격을 지속적으로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프트웨어 분야의 예를 들면 넷플릭스, 인스타그램, 메타버스 등 제품의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제품의 사용 가치가 높아지고 확대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 말하는 네트워크 효과 때문에 수확 체증이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정보화 사회, 세계화가 확대되면서 시장 선도 기업이 시장 지배력을 지속하고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많은 정보와 피드백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 소비자의 필요를 잘 파악하는 기업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참조: 기획재정부, 위키, 한국은행 경제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