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후반부터 새롭게 인식되어 연구되고 있으며 경제학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게 된 사회적 자본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회적 자본의 의미는
사람들 사이에서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공유된 제도, 규범, 네트워크, 신뢰 등과 같은 무형의 자본을 뜻하는 것으로 사회 과학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개념입니다.
여기서 언급된 무형의 자본이란 인간관계 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 눈에 보이지 않는 자본이라는 것입니다.
사회 과학이란? 인간들로 이루어진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회 현상과 사회적 행동, 가치를 연구하는 사회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사회적 자본이라는 개념은 로버트 퍼트넘의 '나 홀로 볼링'이라는 저서를 통하여 널리 알려지게 되어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사회적 자본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누리 소통망에 주목하게 됩니다.
누리 소통망은 매체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램이나 누리집 따위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일컫는 말로 SNS 즉 온라인에서 인적 관계망 형성과 소통을 도와주는 서비스를 이르는 소셜 네트워크를 다듬은 우리말 순화어입니다. 관련된 단어들을 예를 든다면 팔로워(foller)는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에서 특정한 사람이나 업체 등의 계정을 즐겨 찾고 따르는 사람을 의미하며 랜선 친구는 실제로 만나는 사람은 아니지만 누리 소통망 서비스나 메신져 등을 사용하여 대화하거나 연락을 주고받고 지내는 사람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로버트 퍼트넘은 1960년대 이후 미국에서 거의 모든 단체(공적인 단체에서 사적인 단체에 이르기까지)활동 분야에서 사람들의 참여율이 떨어졌음을 알게 되었고 이것을 미국 사회의 개인화가 심화된 현상에서 기인한다고 파악하였습니다. 개인화의 심화는 사회적 자본의 감소로 이어지고 사회적 자본이 부족한 사회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요인이 증가하여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고 분석하였습니다. 반면 사회적 자본이 즉 사람들의 사회적 참여가 늘어나면 공동체가 살아나고 공공의 선이 실현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
① 공유된 제도
② 규범
③ 네트워크
④ 신뢰 등 사람들 사이에 협력이 가능하게 하는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회적 자본을 구성의 동질성에 따라 분류하여 본다면
①결속적 사회적 자본
가족, 친구 이웃 등 이미 동질적인 성향을 가진 구성원들 속에서 형성된 개념
②교량적 사회적 자본
결속적 사회적 자본의 구성원들 보다 조금 거리가 있는 이질적인 동료나 조직 외 구성원들과 맺는 개념
③연결적 사회적 자본
집단과 집단, 공공 기관 조직과 같은 조직과 맺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
사회적 자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배경
동일한 조건을 가진 국가 간에도 경제 발전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가 사회 전체에 공유된 가치의 차별적인 요소가 한 원인으로 즉 1990년대 후반부터 사회적 자본이 사회 거래 비용을 절감 시켜 물적·인적 자원의 생산성을 높인다고 알려지면서 사회적 자본에 대한 관심이 경제학에서도 관심을 갖게 되었고 국제기구(OECD 등)들 에서도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