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에 보도된 통계청 자료 중 2021년 근로자 소득에 관한 통계 자료 내용을 정리하여 보았다. 사회의 근로 소득 통계 자료는 나에게 어떤 의미일까?
기업규모에 따른 연령별 근로 소득 통계(평균) 2021년
기업 규모·연령별 통계 자료를 참조하면 대기업 근로자 평균 소득은 563만원이며 중소기업은 266만원으로 통계 자료에 집계되어 있습니다. 전산업 기준(전체)으로 중소기업 종사자수는 얼마나 될까요? 2021년 기준으로 중소기업 종사자수 18,492,614(단위: 천), 대기업 종사자수 4,372,877(단위: 천)입니다. 비율로 정리하면 중소기업 종사자수는 80.9%, 대기업 종사자수는 19.1%입니다. 위 표의 기업 규모는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영리성이 있는 기업체를 매출액 기준으로 중소기업과 그 외(대기업)로 분류한 것입니다.
위에 표에 나타난 통계를 참조하면 40대, 50대 연령대 소득 차이가 기업 규모별로 차이가 많이 나타납니다. 40, 50대가 한 분야에서 일을 지속적으로 하고 그 분야에서 어느 정도 인정을 받는다면 가장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연령대로 인정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위에 표는 기업 규모 별로 크게 3개의 부류로 나누어서 작성한 통계 지표입니다. 세부적인 직업과 또 조직에서 담당하는 역할에 따라 나누어지겠지만 통계 지표를 긍정적으로 활용한다면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미래 소득 계획을 세워나갈 수도 있습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어떻게 채워나갈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통계에 따르면 종사자수 300명 이상 기업체 근로자의 평균 소득이 451만원, 50~300명 미만은 329만원, 50명 미만은 245만원입니다.
조직 형태와 성별로 본 평균 소득은
중소기업 기준은 한국에서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정의되며 상시 근로자 수 300명 미만, 자본금 80억원 미만, 매출액 기준에 따른 분류는 업종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업종에 따라 평균매출액 등 1,500억원 이하, 1,000억원 이하, 800억원 이하, 600억원 이하, 400억원 이하로 구분 됩니다)
위의 표(조직 형태를 기업을 소유·경영하는 주체의 법적 조직 형태를 고려하여 분류한 것입니다.)에서 회사법인은 상법으로 설립되어 법인격을 갖춘 조직으로 주식회사 합명회사, 합자회사, 외국회사, 유한회사 등을 지칭합니다. 회사이외법인은 민법에 의한 재단·사단법인, 특별법에 의한 특별법인을 지칭하며 사단법인, 재단법인, 학교법인, 의료법인, 각종 협동조합 등을 말합니다. 정부는 중앙행정기관, 국회, 법원, 지방자치단체, 국·공립학교 등을 말합니다. 비법인 단체는 법인격 없는 각종 단체나 모임을 지칭하며 동창회, 후원회, 종친회, 문화단체, 입주자 대표회 등을 말합니다. 법인 등록 여부에 따라 회사이외법인과 비법인 단체로 구분 됩니다. 개인기업체는 개인이 1인 또는 공동으로 경영하는 기업을 지칭합니다.